교황 비오 8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비오 8세는 1761년 이탈리아에서 태어나 로마에서 교육받고 사제로 서품되었다. 몬탈토 주교, 프라스카티 교구장을 거쳐 1829년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재위 기간 동안 보수적인 정책을 펼치며 종교적 무관심주의와 혼인법 준수를 강조하고, 프리메이슨을 단죄했다. 또한, 프랑스 혁명으로 인해 왕위에 오른 루이 필리프를 인정하고 가톨릭 교육을 증진시켰다. 비오 8세는 1830년 사망했으며, 그레고리오 16세가 그의 뒤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세기 교황 - 교황 비오 9세
교황 비오 9세는 1846년부터 1878년까지 재위한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황이자 교황령의 국가원수로서, 초기 자유주의적 개혁에서 보수적 입장으로 전환하여 이탈리아 통일 운동과 대립하고 교황권 강화에 기여했으며, 긴 재위 기간 동안 교회의 중앙집권화를 이끌고 성모 마리아의 원죄 없으신 잉태를 교리로 선포했다. - 19세기 교황 - 교황 비오 7세
교황 비오 7세는 1800년부터 1823년까지 재임한 로마 가톨릭교회의 251대 교황으로, 나폴레옹과의 대립 속에서 프랑스 정부와의 관계 회복, 예수회 복원, 노예 무역 억제에 관여했다. - 마체라타도 출신 - 교황 마르첼로 2세
교황 마르첼로 2세는 1555년 짧게 재임한 교황으로, 르네상스 시기 학자이자 외교관이었으며 트리엔트 공의회 의장을 역임했고, 교회 개혁을 추진하려 했으나 즉위 22일 만에 사망했음에도 검소하고 청렴한 생활과 교회 쇄신에 대한 열정으로 깊은 인상을 남겼다. - 마체라타도 출신 - 자코모 보나벤투라
자코모 보나벤투라는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로, 아탈란타 BC에서 프로 데뷔 후 US 페르고크레마, 칼초 파도바 임대, AC 밀란, ACF 피오렌티나를 거쳐 현재 알 샤밥에서 미드필더로 뛰고 있으며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에서도 활약한 다재다능한 선수이다. - 프라스카티 주교 추기경 - 헨리 베네딕트 스튜어트
헨리 베네딕트 스튜어트는 제임스 프랜시스 에드워드 스튜어트의 아들이자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의 동생으로, 자코바이트 봉기를 지원하고 사제 서품을 받은 추기경이며, 동성애 논란과 함께 자신의 왕위 계승 권리를 사르데냐 국왕에게 넘기고 1807년에 사망했다. - 프라스카티 주교 추기경 - 대립교황 요한 23세
대립교황 요한 23세는 서방 교회 대분열기에 활동한 발다사레 코사로, 피사 공의회에서 선출된 알렉산데르 5세의 뒤를 이어 대립교황이 되었으나 콘스탄츠 공의회에서 폐위되었다.
교황 비오 8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직함 | 교황 |
이름 | 비오 8세 |
본명 | 프란체스코 사베리오 마리아 펠리체 카스티글리오니 |
출생일 | 1761년 11월 20일 |
출생지 | 이탈리아 마르케주 칭골리 |
사망일 | 1830년 11월 30일 |
사망지 | 로마 퀴리날레 궁전, 교황령 |
![]() | |
교회 경력 | |
임기 시작 | 1829년 3월 31일 |
임기 종료 | 1830년 11월 30일 |
이전 교황 | 레오 12세 |
다음 교황 | 그레고리오 16세 |
서품 | 1785년 12월 17일 |
서품자 | 주세페 마리아 도리아 팜필리 |
성직 수임 | 1800년 8월 17일 |
성직 수임자 | 주세페 마리아 도리아 팜필리 |
추기경 임명 | 1816년 3월 8일 |
추기경 임명자 | 비오 7세 |
이전 직책 | 몬탈토델레마르케 주교 (1800–1816) 산타 마리아 인 트라스폰티나 성당 추기경 사제 (1816–1821) 체세나 주교 (1816–1821) 사도고해성사원의 대참회관 (1821–1829) 프라스카티 추기경 주교 (1821–1829) 금서 목록 성무성 장관 (1821–1829) |
문장 | |
![]() |
2. 생애
비오 8세는 전임 교황들의 보수주의를 탈피하려고 노력하였다. 칙서 ''Traditi humilitati''를 통해 교황의 권위를 강조하고 종교적인 무관심주의와 투쟁하며 혼인법을 준수하고 로마 가톨릭 교육을 증진시키며 비밀 결사대들을 단죄하였다. 1829년 5월 24일 칙서 ''Litteris altero''를 통해 프리메이슨을 단죄하였다.[1]
교황령에 대해서는 레오 12세보다 더 온건한 정책으로 경제 및 사회 개선 정책을 폈다. 프로이센과의 관계에서는 혼종혼 문제가 발생했다. 라인란트와 베스트팔리아를 확보한 프로이센은 혼인 재판 관할권, 자녀의 신앙 문제, 학교 등에서 로마 가톨릭에 반대되는 법령을 반포하였는데, 이에 반대한 로마 가톨릭 교회 주교들이 모두 투옥되어 1824년에 맺은 정교 협정이 폐기되었다.
프랑스에서는 반 로마 가톨릭 교회적인 법령이 서서히 철회되고 교황청과 다시 정상적인 관계를 맺게 되었다. 비오 8세는 7월 혁명으로 왕위에 오른 루이 필리프에게 ‘가장 그리스도인다운 왕’이라는 칭호를 부여하였다. 루이 필리프 왕은 로마 가톨릭에 대해 원조와 보호를 아끼지 않았으므로, 프랑스의 로마 가톨릭 교회는 독립을 유지할 수 있었다. 전통적인 개신교 국가인 네덜란드는 1827년 교황청과 정교 협정을 맺었으나 빌헬름 1세가 남부 지역에서 로마 가톨릭을 허용하지 않자 자유주의자들과 연합한 로마 가톨릭 신자들이 독립을 선언하였다.
비오 8세 시대의 유럽은 나폴레옹 이후의 불안정한 시기였다. 비오 8세는 이러한 불안정성의 원인이 비밀 결사와 프로테스탄트의 책동에 있다고 보았으며, 이 두 세력을 엄격히 규탄했다. 프랑스에서는 7월 혁명으로 루이 필리프가 즉위했는데, 비오 8세는 프랑스 교회를 프랑스 정부로부터 되찾고 싶어 하면서도 루이 필리프를 프랑스 왕으로 승인했다. 또한 이 시기 영국에서는 가톨릭교도 해방령(1829년)이 발표되었고, 독일에서는 이종교 간 결혼이 처음으로 교회에서 인정되었다. 근대 국가로 변모해 가는 유럽의 여러 국가에 가톨릭 교회가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가 문제였다.
1830년 비오 8세가 갑작스러운 병으로 서거하자 그레고리오 16세가 그 뒤를 이었다.
2. 1. 초기 생애
프란체스코 사베리오 카스틸리오니는 1761년 11월 20일 이탈리아 마르케 칭골리에서 오타비오 카스틸리오니 백작과 그의 아내 산치아 기슬리에리의 여덟 자녀 중 셋째로 태어났다. 그의 세례명은 프란체스코 사베리오 마리아 펠리체로 기록되었다. 그의 조상 중에는 교황 첼레스티노 4세가 있었다. 그는 예수회에서 운영하는 콜레지오 캄파나에서 공부했으며, 그 후 볼로냐 대학교에서 1785년 교회법과 민법(''utroque iure'') 박사 학위를 받았다. 1785년 12월 17일 로마에서 사제 서품을 받았다.[1]그는 아냐니 (1788–1790), 파노 (1790–1797) 및 아스콜리 피체노 (1797–1800)의 총대리를 역임했다.[1] 1800년 몬탈토의 주교가 되었다.
2. 2. 주교 및 추기경 시절
1761년 11월 20일 이탈리아 안코나의 친골리에서 태어났다. 오시모와 볼로냐, 로마에서 교육을 받은 후 1785년 로마 가톨릭 교회의 신부로 서품되었다. 교회법 학자로 아나니와 친골리에서 총대리로 일하다가 1800년 몬탈토의 주교가 되었다.[1]1800년 8월 11일, 카스틸리오니는 몬탈토 주교로 임명되었다. 그는 8월 17일 로마의 산티 도메니코 에 시스토 성당에서 주교 서품을 받았다. 주세페 도리아 팜필리 추기경이 서품 주례를 맡았고, 니콜라 부스키와 카밀로 캄파넬리가 보좌했다. 그는 나폴레옹 또는 그의 추종 국가인 이탈리아 왕국에 대한 충성을 맹세하는 것을 거부하여, 1808년 7월 29일 체포되어 밀라노로 이송되었다. 카스틸리오니는 이후 파비아, 만토바, 그리고 1813년 11월 10일 토리노로 이송되었다. 11월 18일 다시 밀라노로 이송되었다. 나폴레옹이 몰락한 후, 카스틸리오니는 1814년 6월 16일 자신의 교구로 돌아왔다.[1] 1816년 교황 비오 7세는 그를 산타 마리아 인 트라스폰티나의 추기경 사제로 임명했다. 이후 그는 사도적 참회원을 포함한 다양한 고위직을 역임했다. 그는 곧 프라스카티 교외 교구의 추기경 주교가 되었다.
2. 3. 교황 선출
1761년 교황령 친골리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난 카스틸리오니는 프라스카티 주교 시절, 나폴레옹 시대의 정치 투쟁에 휘말려 프랑스로 연행되었다. 1816년 나폴레옹 이후 유럽의 신질서(빈 체제)가 구축되고 교황청과 교황령이 부활하면서, 카스틸리오니는 추기경으로 임명되어 교황 레오 12세의 측근이 되었다. 레오 12세 사후 콘클라베에서 새 교황으로 선출되자 카스틸리오니는 비오 8세로 명명했다.[1]1829년 교황 레오 12세가 사망한 후, 교황이 되는 데 필요한 모든 자질과 능력을 갖춘 카스틸리오니는 건강과 나이 때문에 의문이 제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시 주요 후보로 여겨졌다. 이러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그는 1829년 교황 선거에서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비오 7세가 그를 비오 8세라고 지칭한 점을 고려할 때, 그가 이 이름을 교황명으로 선택한 것은 매우 적절해 보였다. 그는 1829년 4월 5일 추기경 주세페 알바니에 의해 교황 대관식을 거행했다.[1]
교황 선거 기간 동안 알바니 추기경은 카스틸리오니의 병약함과 고령으로 인해 짧은 재위 기간을 거쳐 그가 병든 교황에게 통치권의 일부를 자신에게 넘기도록 설득할 수 있다는 점을 근거로 카스틸리오니를 교황 후보로 제안하기로 했다. 이는 알바니가 교황이 되는 것을 원하지 않고, 오히려 국무원장 추기경으로 임명되어 교회 통치와 관련한 권력을 갖기를 원했기 때문이다. 알바니는 카스틸리오니에게 이 제안을 하며, 카스틸리오니가 이의 없이 서명한 협약서를 작성했다. 카스틸리오니가 선출되자 알바니는 자신이 원하던 직책에 임명되었다.[3]
교황 선거가 시작되자 프랑스 추기경들은 프랑스 궁정이 카스틸리오니를 포함한 7명의 추기경을 교황으로 지지할 것이라고 들었다. 프랑스 국왕 샤를 10세는 카스틸리오니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었으며, 카스틸리오니, 플라치도 쥴라, 엠마누엘 데 그레고리오, 또는 체사레 브란카도로가 교황이 되기를 선호했다. 카스틸리오니는 첫 번째 투표에서 11표를 얻어 선두를 달렸고, 3월 4일 사도 참회원으로서 추기경들에게 재를 뿌렸다. 재의 수요일이었기 때문이다. 데 그레고리오를 지지하는 파벌에 대한 소문이 있었지만, 안토니오 마리아 프로시니, 카를로 마리아 페디치니, 안토니오 팔로타, 토마소 마리아 라이몬도 레오폴도 아레초, 아고스티노 리바롤라 추기경으로 구성된 파벌이 카스틸리오니에 대한 지지를 강화하기 시작했다고 전해졌다. 3월 6일, 데 그레고리오는 여전히 선두를 달리고 있었고, 카스틸리오니는 오후 심사에서 15표를 받았다. 데 그레고리오를 둘러싼 일련의 논란으로 인해 3월 7일 데 그레고리오의 표는 감소했으며, 카스틸리오니는 오전 14표, 오후 15표를 받았다. 3월 14일, 카스틸리오니는 오전 20표, 오후 23표를 받았으며, 3월 15일과 16일에는 변동이 있었다. 카스틸리오니는 3월 20일 오전 투표에서 22표를 받았으며, 바르톨로메오 파카의 표는 교착 상태를 끝내고 타협 후보를 선출하기 위해 오후에 11표에서 19표로 증가했다. 카스틸리오니의 투표 총수는 다음 날에도 동일했다.[4]
3월 23일 오전 투표에서 그는 24표를 받았고, 오후에는 26표를 받았다. 한편, 카펠라리는 파카를 지지하던 사람들이 그를 호의적인 타협안으로 결정하고, 파카가 공식적으로 배척권으로 거부당했기 때문에 원래 파카에게 투표했던 19표를 받았다. 3월 24일, 각기 다른 파벌의 카를로 오피초니와 파브리지오 스체베라스 테스타페라타 추기경은 카스틸리오니에 대한 추가 지지를 모으는 데 사적으로 동의했다. 카펠라리가 자신의 후보 지명 가능성이 높아짐을 나타내는 22표를 받은 반면, 카스틸리오니는 23표를 받았고, 데 그레고리오는 2표로 떨어졌다. 3월 26일, 오후 심사에서 데 그레고리오는 갑자기 24표로 급증한 반면, 카스틸리오니는 14표 또는 15표로 하락했다. 그는 3월 28일 13표로 하락했지만, 3월 30일 결과가 변경되어 데 그레고리오는 오전 투표에서 23표를 확보했고, 카스틸리오니는 25표를 약간 넘게 확보했지만, 두 후보 모두 오후 심사에서 표가 감소했다. 3월 31일, 그는 28표를 확보하여 압도적인 리드를 차지했고, 오전 투표에서 간신히 3분의 2의 과반수를 얻었다. 다음 투표에서 카스틸리오니는 47표를 얻어 교황으로 선출되었다.[4]
3. 교황 재위 기간의 주요 활동
비오 8세는 짧은 재위 기간 동안 교회 안팎으로 여러 중요한 활동을 펼쳤다.
1829년 회칙 ''Traditi humilitati''를 발표하여 교황의 권위를 강조하고, 종교 다원주의에 맞서 가톨릭 교회의 가르침을 옹호했다. 또한, 성경 번역에 있어 교회의 법을 따르지 않는 자의적 해석을 경계하고, 프리메이슨과 같은 비밀 결사를 비판했다.[5]
혼인 문제에 있어서는 개신교 신자와 가톨릭 신자 간의 혼인, 즉 혼합 결혼에 대해 자녀를 가톨릭 신자로 양육하겠다는 약속이 있을 경우에만 사제가 축복할 수 있도록 했다.[7] 그러나 비가톨릭 배우자가 이를 거부할 경우, 사제가 혼인식에 '수동적 지원'을 제공하는 것은 허용했다.[8]
프로이센과의 관계에서는 혼인 재판 관할권, 자녀의 신앙 문제 등으로 갈등을 겪었고, 1824년에 맺은 정교 협정이 파기되기도 했다.[14] 반면, 프랑스에서는 7월 혁명 이후 루이 필리프를 왕으로 인정하고 '가장 그리스도인다운 왕'이라는 칭호를 부여하며 관계를 개선했다.[14]
1829년에는 미국 모빌 교구와 캐나다 샬럿타운 교구를 설립하는 등 아메리카 대륙의 가톨릭 교회 교구 확장에도 힘썼다.[10][11]
또한, 프랑스 주교에게 보낸 서한에서는 적절한 이자를 받는 것을 허용하여 고리대금에 대한 전통적인 가톨릭 교회의 입장을 일부 완화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15]
3. 1. 교회 정책
비오 8세는 전임 교황들의 보수주의를 탈피하려고 노력하였다. 칙서 ''Traditi numiliati''를 통해 교황의 권위를 강조하고 종교적인 무관심주의와 투쟁하며 혼인법을 준수하고 로마 가톨릭 교육을 증진시키며 비밀 결사대들을 단죄하였다. 또한 1829년 5월 24일 칙서 ''Litteris altero''를 통해 프리메이슨을 단죄하였다.[9]교황령에 대해서는 레오 12세보다 더 온건한 정책으로 경제적인 면과 사회적인 개선 정책을 펴 나갔다. 프로이센과의 관계에 있어서 혼종혼의 문제가 생겼다. 라인란트와 베스트팔리아를 확보한 프로이센은 혼인 재판 관할권과 자녀의 신앙 문제와 학교 등에 대하여 로마 가톨릭에 반대되는 법령을 반포하였는데, 이에 반대한 로마 가톨릭 교회 주교들이 모두 투옥되어 1824년에 맺은 정교 협정이 폐기되고 말았다.
프랑스에서는 반 로마 가톨릭 교회적인 법령이 서서히 철회되기 시작하고 교황청과 다시 정상적인 관계를 맺게 되었다. 비오 8세는 혁명으로 인해 왕위에 오른 루이 필리프에게 ‘가장 그리스도인다운 왕’이라는 칭호를 부여하였다. 루이 필리프 왕은 로마 가톨릭에 대해 원조와 보호를 아끼지 않았으므로, 프랑스의 로마 가톨릭 교회는 독립을 유지할 수 있었다. 전통적인 개신교 국가인 네덜란드는 1827년 교황청과 정교 협정을 맺었으나 빌헬름 1세가 남부 지역에서 로마 가톨릭을 허용하지 않자 자유주의자들과 연합한 로마 가톨릭 신자들이 독립을 선언하였다.
교황청 웹사이트는 "Inter multiplices"라는 이름으로 칙서(breve) 세 개를 언급하고 있다.[9]
- 1829년 5월 15일자 칙서는 당시 앨라배마주와 플로리다주를 관할하는 모빌 교구를 설립했다.[10]
- 1829년 8월 11일자 칙서는 캐나다의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 뉴브런즈윅, 매그달렌 제도의 사목을 퀘벡 교구에서 분리하여 샬럿타운에 새로운 주교좌를 신설했다.[11]
- 1829년 9월 4일자 칙서는 케이프브레턴 섬의 영토를 퀘벡 교구에서 분리하여 노바스코샤의 사도 대리구 관할로 편입했다.[12] 이 마지막 서한에서 그는 "온 지구에 분포된 가톨릭 교회의 교구의 상태"에 대한 관심이 자신의 모든 관심사 중에서 두 번째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고 적었다.
3. 2. 국제 관계
비오 8세는 프로이센과의 관계에서 혼종혼 문제를 겪었다. 프로이센은 라인란트와 베스트팔리아 지역을 확보한 후, 혼인 재판 관할권, 자녀의 신앙 문제, 학교 등에 대해 로마 가톨릭 교회에 반하는 법령을 공포했다. 이에 반대한 가톨릭 주교들이 투옥되면서 1824년에 맺은 정교 협정이 폐기되었다.[14]프랑스에서는 반(反) 로마 가톨릭 교회 법령이 점차 철회되고 교황청과 정상적인 관계를 회복하기 시작했다. 비오 8세는 7월 혁명으로 왕위에 오른 루이 필리프에게 ‘가장 그리스도인다운 왕’이라는 칭호를 부여했다. 루이 필리프 왕은 가톨릭에 대한 원조와 보호를 아끼지 않아, 프랑스의 로마 가톨릭 교회는 독립을 유지할 수 있었다.[14]
전통적인 개신교 국가인 네덜란드는 1827년 교황청과 정교 협정을 맺었으나, 빌헬름 1세가 남부 지역에서 로마 가톨릭을 허용하지 않자 자유주의자들과 연합한 로마 가톨릭 신자들이 독립을 선언하였다.
비오 8세의 짧은 재위 기간 동안 영국에서는 가톨릭 해방령이, 프랑스에서는 7월 혁명이 각각 1829년과 1830년에 일어났다. 비오 8세는 루이 필리프 1세를 프랑스 왕으로 인정하고 그가 프랑스 왕의 관례적인 칭호인 "Roi Très Chrétien", 즉 "가장 기독교적인 폐하"를 사용하도록 허락했다.[14]
3. 3. 혼인 문제
비오 8세는 칙서 ''Traditi humilitati''를 통해 혼인법 준수를 강조하였다.[7] 또한 1829년 5월 24일 칙서 ''Litteris altero''를 통해 프리메이슨을 단죄하였다.[7]프로이센과의 관계에서는 혼종혼 문제가 발생하였다. 프로이센은 라인란트와 베스트팔리아 지역에서 혼인 재판 관할권, 자녀의 신앙 문제, 학교 등에 대해 로마 가톨릭 교회에 반대되는 법령을 반포하였다. 이에 반대한 로마 가톨릭 교회 주교들이 투옥되면서 1824년에 맺은 정교 협정이 폐기되었다.[7]
비오 8세는 독일에서 개신교 신자와 가톨릭 신자 간의 혼합 결혼에 대한 상황은 수용했지만, 아일랜드와 폴란드에서의 변화에는 반대했다. 그는 교황 칙서 ''Litteris altero abhinc''에서 혼합 결혼의 자녀를 가톨릭 신자로 교육하겠다는 약속이 이루어진 경우에만 사제가 혼인을 축복할 수 있다고 선언했다.[7] 그러나 이 칙서는 비가톨릭 배우자가 자녀를 가톨릭 신자로 양육하겠다는 서약을 거부할 경우 사제가 혼합 결혼식에 "수동적 지원"을 제공하는 것을 허용했다. "수동적 지원" 조항은 사제가 결혼식을 주례하고 증인 역할을 할 수 있지만, 결혼은 축복받거나 성사로 간주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했다.[8]
독일에서는 이종교 간 결혼(종교가 다른 사람들 간의 결혼)이 처음으로 교회에서 인정되기도 하였다.
3. 4. 성경 번역 문제
교황 비오 8세는 교황령에서 몇 가지 개혁을 시작했다. 1829년 5월 24일 그는 회칙 ''Traditi humilitati''를 발표했다. 종교 다원주의와 관련하여, 그는 가톨릭교회를 다른 어떤 종교와도 동등하게 취급하려는 "이 시대의 궤변가들의 사악한 책략"을 비난했다. 성경 번역과 관련하여, 그는 그 회칙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우리는 또한 교회의 법에 반하는 새로운 해석으로 성경을 출판하는 사람들을 조심해야 한다. 그들은 자신의 해석으로 의미를 교묘하게 왜곡한다. 그들은 성경을 자국어로 인쇄하고, 엄청난 비용을 들여서, 교육을 받지 못한 사람들에게까지 무료로 제공한다. 더욱이, 그 성경들은 독자가 구원의 물 대신 그들의 치명적인 독을 흡수하도록 보장하기 위해 사악한 작은 삽입물들을 거의 항상 가지고 있다.[5]
1830년 3월 25일, 교황 칙서 ''Litteris altero''에서 그는 프리메이슨 비밀 결사와 근대주의적 성경 번역을 비난했다.
비오 8세가 1830년 6월 말에 상부 라인란트 주교들에게 보낸 또 다른 사목적 관심의 편지는 그의 후임 교황 그레고리오 16세가 1833년의 교황 칙서 ''Quo Graviora''에서 언급했다. 그레고리오는 이에 대한 주교들의 행동에 대한 정보 요청에 대해 언급하며 "3년이 지났지만" 아직 받지 못했다고 말했다.[6]
3. 5. 기타 활동
비오 8세는 전임 교황들의 보수주의에서 벗어나려 노력했다. 그는 교황의 권위를 강조하고 종교적 무관심주의에 맞서 싸웠으며, 혼인법 준수와 로마 가톨릭 교육을 장려하고 비밀 결사대를 단죄했다. 1829년 5월 24일 칙서 ''Litteris altero''를 통해 프리메이슨을 단죄했다.[14]교황령에 대해서는 레오 12세보다 온건한 정책을 펼쳐 경제 및 사회 개선에 힘썼다. 프로이센과의 관계에서는 혼종혼 문제가 발생했다. 프로이센은 혼인 재판 관할권, 자녀 신앙 문제, 학교 등에서 로마 가톨릭에 반대되는 법령을 반포했고, 이에 반대한 로마 가톨릭 주교들이 투옥되어 1824년의 정교 협정이 파기되었다.
프랑스에서는 반 로마 가톨릭 법령이 철회되고 교황청과 정상적인 관계를 맺게 되었다. 비오 8세는 루이 필리프에게 ‘가장 그리스도인다운 왕’이라는 칭호를 부여했고, 루이 필리프는 로마 가톨릭에 대한 원조와 보호를 아끼지 않아 프랑스 로마 가톨릭 교회는 독립을 유지할 수 있었다. 네덜란드는 1827년 교황청과 정교 협정을 맺었으나, 빌헬름 1세가 남부 지역에서 로마 가톨릭을 허용하지 않자 자유주의자들과 연합한 로마 가톨릭 신자들이 독립을 선언했다.
비오 8세의 짧은 재위 기간 동안 영국에서는 가톨릭 해방령이, 프랑스에서는 7월 혁명이 일어났다. 그는 루이 필리프 1세를 프랑스 왕으로 인정하고 "가장 기독교적인 폐하"라는 칭호를 사용하도록 허락했다.[14] 또한, 프랑스 주교에게 보낸 서한에서 적절한 이자를 받는 것을 허용했다(빌려준 자본을 투자함으로써 얻는 이익을 포기한다는 원칙 하에).[14]
당시 교황령의 수장이었던 그는 레오 12세가 술집에 설치하라고 명령했던 "cancelletti"(격자)를 제거하여 수십 년 동안 인기를 누렸다.[15]
4. 죽음
비오 8세는 재위 기간 대부분 동안 건강이 좋지 않았다. 1830년 11월 초에 심각한 병에 걸려 목과 무릎에 누공이 생겼고, 온몸에 농포가 생겼는데, 의사들은 11월 15일까지 이를 관리할 수 있었다. 11월 23일에 다시 심각한 병에 걸렸고, 그 후 3일 밤 동안 호흡 곤란을 겪었으며, 11월 28일에 병자 성체를 받았고, 그날 오후 9시 30분에 종부성사를 받았다.[14][16] 그는 1830년 11월 30일, 로마의 퀴리날레 궁전에서 6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비오 8세가 독살되었다는 설이 제기되었지만, 이 주장을 입증할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14]
추기경 카밀로 디 피에트로는 교황 후임자를 선출하기 위해 추기경들이 콘클라베에 들어가기 전에 고인이 된 교황의 장례 연설을 했다. 비오 8세의 후임은 교황 그레고리오 16세였다.
5. 시복
비오 8세는 짧은 재임 기간 동안 성인을 한 명도 성인으로 선포하지 않았지만, 1829년 12월 23일 베닌카사 다 몬테풀치아노를, 1830년 3월 4일에는 키아라 감바코르티를 복자로 선포했다. 1830년 8월 20일에는 성 클레르보의 베르나르두스를 교회 학자로 선포하고, 그에게 "''꿀처럼 흐르는 박사''" ("Doctor mellifluus")라는 칭호를 부여했다.
6. 콘시스토리
비오 8세는 콘시스토리를 세 차례 열어 총 6명의 사람들을 추기경으로 서임했다. 그는 1829년 7월 27일, 1830년 3월 15일, 1830년 7월 5일에 이 의식들을 거행했다.[13] 비오 8세는 또한 1830년 3월 콘시스토리에서 8명의 추기경을 ''인 펙토레''로 지명했지만, 사망 전에 그 이름을 공개하지 않아 임명이 무효가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CASTIGLIONI, Francesco Saverio (1761–1830)
http://www2.fiu.edu/[...]
Salvador Miranda
2024-01-02
[2]
웹사이트
LEO XII (DELLA GENGA)
http://www.pickle-pu[...]
Pickle Pushing
2016-02-28
[3]
웹사이트
Pope Pius VIII: Proceedings of the Conclave that led to his election
http://www.pickle-pu[...]
Pickle Publishing
2022-02-20
[4]
웹사이트
SEDE VACANTE 1829
http://www.csun.edu/[...]
John Paul Adams
2022-02-20
[5]
웹사이트
TRADITI HUMILITATI (On His Program for the Pontificate): Pope Pius VIII
https://www.ewtn.com[...]
Eternal Word Television Network
2016-02-16
[6]
간행물
Quo Graviora: On the Pragmatic Constitution
https://www.papalenc[...]
2023-12-05
[7]
서적
Pope Pius VIII
https://www.newadven[...]
The Catholic Encyclopedia.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
2016-02-16
[8]
논문
In the shadow of Josephinism: Austria and the Catholic Church in the Restoration, 1815-1848
https://repository.l[...]
Louisiana State University, LSU Scholarly Repository
2010-08-01
[9]
웹사이트
Pius VIII
https://www.vatican.[...]
Holy See
2024-01-16
[10]
웹사이트
Inter multiplices
https://www.vatican.[...]
2024-05-08
[11]
웹사이트
Inter multiplices
https://www.vatican.[...]
2024-05-08
[12]
웹사이트
Inter multiplices
https://www.vatican.[...]
2024-05-21
[13]
웹사이트
Consistories for the creation of Cardinals: 19th Century (1800–1903)
http://www2.fiu.edu/[...]
The Cardinals of the Holy Roman Church
2016-02-16
[14]
웹사이트
Papal Profile: Pope Pius VIII
http://madmonarchist[...]
2016-02-20
[15]
문서
As represented in one of the books of the Concerto Romano cycle.
[16]
웹사이트
Sede Vacante 1830-1831
http://www.csun.edu/[...]
2019-01-20
[17]
웹사이트
Bishop Oscar Cantoni
http://www.catholic-[...]
2019-08-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